본문 바로가기
독서 리뷰/경제 도서

부의 본능_브라운스톤(우석)

by 빛나는초이 2022. 9. 22.
반응형

슈퍼리치가 되는 9가지 방법

부의본능

절대 실패하지 않는 재테크 실전 매뉴얼로 500만원을 50억으로 만든 재테크 고수의 실전 투자기인 이 책은 저자 브라운스톤의 첫 책입니다.  '부의 인문학'을 먼저 읽고 전작도 찾아읽게 될 만큼 브라운스톤님의 팬이 되었습니다. 

투자서를 읽다 보면 본인의 성공기와 화려한 수익으로 큰 부를 거머쥔 분들도 많으시겠으나, 브라운스톤이 주는 메세지에서는 돈이 만들어주는 자유의 가치를 누리며 가족과의 시간을 보내는 안정적인 여유가 느껴집니다. 다다익선처럼 돈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지 않느냐 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저자의 말에서도 보면 넘치는 재산보다는 내가 꿈을 이루며 사는 데 필요한 만큼의 부를 이루는 것이 훨씬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써 놓았습니다. 이 정도의 재산이면 되었다고 생각하기에 이제는 재산을 모으는 데 집착하지 않는다는 말에서 정말 가진 사람의 여유가 느껴졌습니다. 그리고 저도 그렇게 되고 싶습니다. 

 

책에서는 우리 안에는 부자 되는 걸 방해하는 아홉 가지 심리적 장해물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우리 모두는 불행히도 재테크에 실패하기에 딱 알맞도록 타고났습니다. 그동안 우리의 재테크가 판판이 깨진 것은 당신이 너무나 인간적이었기 때문이라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습니다. 우리 내면에 있는 장해물을 제거하고 극복하는 방법을 배운다면 누구나 부자가 될 수가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인생에서 가장 위험한 일은
아무런 위험에도 뛰어들지 않는 것,

투자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위험이다!


 

길을 아는 것과 길을 실제로 가는 것은 완전히 다르다. 마찬가지로 재테크도 머리로 아는 것과 실행하는 것이 완전히 다르다.실행능력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감정 그리고 인식체계 결함이라는 장해물을 극복해야 하기 때문이다. 감정과 본능을 다스리지 못하면 책을 아무리 많이 읽어도 소용이 없다. 

 

브라운스톤이 말하는 9가지본능이란 과연 무엇인가.

- 무리 짓는 본능

- 영토 본능

- 쾌락 본능

- 근시안적 본능

- 손실공포 본능

- 과시 본능

- 도사 환상

- 마녀 환상

- 인식체계의 오류

 

부자가 되기 위해 우리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본능을 극복하기 위해 유용한 8가지 도구이다. 

부의 본능을 깨우는 도구 1

신경조건화하기


돈을 쓰고 싶은 유혹이 일 때마다
과거의 고통스런 기억을 떠올린다. 
부의 본능을 깨우는 도구 2

모델 따라 하기


부자를 따라 하다보면
부자의 성공법을 터득하게 된다.  

 

부의 본능을 깨우는 도구 3

유혹 회피하기


유혹은 강력하다. 유혹은 저항하기보다
회피하는 게 더 현명한 방법이다. 
부의 본능을 깨우는 도구 4

가계부 쓰기


부자가 되고 싶은가? 가계부를 써라.
단순하지만 강력한 방법이다. 
부의 본능을 깨우는 도구 5

작은 성공 체험하기


부자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어마어마하게 큰 성공이 아니라
작은 성공의 체험이다. 
부의 본능을 깨우는 도구 6

서약서 쓰기


서약서 쓰기는 금연도 성공시킬 만큼 강력하다.
부의 본능을 깨우는 도구 7

진실 파악하기


잘못된 믿음음 자신을 해롭게 한다. 
부의 본능을 깨우는 도구 8

신에게 기도하기


기도는 20억 개가 넘는 뇌세포로 이루어진
잠재의식을 활용하는 도구다.

 

집값 상승은 항상 월급상승 속도보다 빠르다

집값은 장기적으로 계속 오른다. 집값은 역사적으로 볼 때 계속 상승해왔다.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집값이 다 그 나라 국민들 월급상승 속도보다 빠르게 상승했다. 그래서 내 집 마련을 하려고 하는 삶이 집값을 다 모아서 집을 사려 하는 것은 매우 어리석은 생각이다. 자본주의체제 속성상 인플레이션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부는 종잇조각인 돈을 계속 찍어내서 정부 빚을 탕감하고자 하는 유혹을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 부채를 가장 많이 가진 지배계층도 적당한 인플레이션을 원하기 때문이다. 

 

부자는 본능을 통제하과 빈자는 본능대로 산다. 당신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