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독서 리뷰/자녀교육13 수학 잘하는 아이를 만드는 초등수학 심화공부법_류승재 (평범한 아이를 고등수학 1등급 만드는 결정적인 힘) 수학력! 수학은 생각하고 몰입하고 집중해야 실력이 늡니다. 초등심화는 결국 수학을 잘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관문입니다. 극소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아이들은 초등 때 심화를 하지 않으면 그 이후에도 심화를 하지 못합니다. 심화 문제를 푸는 것은 지식이나 정보의 양이 아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제해결력'이 좌우합니다. 학원을 보내려면 소규모 학원 : 개별 진도가 가능한 곳. 개념은 현행 과정만 따라가는 수준으로 천천히 진도 나가고 선행 대신 심화 시간제 공부법으로 천천히 시키는 학원이 좋다. 현행 개념 수업과 숙제 오답은 보통 30분이고 나머지 시간은 심화 교재를 나간다. (학원에 한 학기 과정을 1년 동안 해도 되니 진도에 구애받지 말고 심화.. 2022. 12. 15. 내 아이를 위한 인문학 교육법_이지성 인문학은 인간을 탐구하고 인간과 관련된 근원적인 것들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인문학 교육은 인간을 '탐구'하게 하고, 인간과 관련된 근원적인 것들을 '연구'하게 하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 즉 인간을 위한 교육, 인간적인 교육, 인간을 인간답게 살게 하고 행복하게 만드는 교육인 것이다. 인문학 교육은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고 느끼고 깨닫고 실천하게 한다. 이런 교육을 받았을 때, 케네디, 김용, 석지영 같은 각 분양에서 탁월함을 드러내는 인물이 탄생하게 된다. 그들에게는 특별한 교육법이 있었다. 우리에게는 생소하지만, 그들에게는 당연한 교육법, 바로 인문학 교육법이다. 인간과 세상에 관한 철학적 질문을 자주 던졌다. 도서관에 가면 자녀가 무슨 책을 읽든 내버려 두고 책을 읽었다. 일요일에는 호우 내내.. 2022. 12. 5. 하루5분 공부각오_한재우 무언가를 꾸준히 1년 동안 한다면 헨리 모턴 스탠리는 미국의 탐험가다. 그는 남북 전쟁에 참가하고 에티오피아에 특파원으로 파견되는 등 역동적인 삶을 살아오다가 아프리카 오지에서 행방불명된 다른 탐험가를 구조하는 일을 맡아 밀림 속으로 들어갔다. 그는 더위, 독충, 질병, 맹수 등 대단히 혹독한 화경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았고 마침내 극적으로 구조에 성공했다. 극한 상황에서 스탠리는 어떻게 초인적인 의지력을 발휘했을까. 심리학자들은 그가 매일 예외 없이 면도하고 일기를 쓰던 습관에 주목했다. 사람은 무언가 의미 있는 행동을 꾸준히 하는 동안 의지력이 길러지기 때문이다. 심지어 틈틈이 자세를 바르게 하는 연습만 하더라도 전반적인 의지력이 향상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의미 있는 행동 한 가지를 정하고, 그것을.. 2022. 11. 29. 중학생활 공부법 초등 부모가 알아야 할 '중학교 준비'의 모든 것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것은 학생의 '자기 주도력 향상'이다. 이제껏 기본생활 습관 형성에 초점을 맞추던 초등학교와는 다르다. 공동체 생활에서 또래의 영향을 받아 자아존중감을 키우고, 세계시민으로서의 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이 목표다. 6학년 여름방학이나 겨울방학에 초등 전 과정 개념을 정리하는 방법으로 교과서 공부를 추천한다. 4학년부터 6학년까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교과서를 읽고 정리하자. 교과서에 모르는 개념, 불명확한 개념이 하나도 없을 때까지 정리한다는 생각으로 읽고 또 읽는다. 분명히 아이가 다 이해하지 못하고 얼렁뚱땅 넘어간 부분이 있을 것이다. 차분히 앉아 교과서를 정독하고, 그 개념을 정리해서 본인의 지식 체계.. 2022. 11. 27.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