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에 관한 공부는 IGO빡시다의 전작 '교통망도 모르면서 부동산 투자를 한다고?' 와 2번째 책인 '돈 되는 개발호재 핵심정리'를 읽으면 됩니다. 체계적으로 잘 정리가 되어 있고 긴 시간이 필요한 국가철도계획들이 담겨있어서 현재시점에서 이루어지는 단계를 보며 앞으로 될 것을 체크하며 공부하기에 너무 잘 정리된 책입니다.
객관적인 정보를 크로스체크하라
개발호재를 살피는 두 가지 테마
1.모든 개발호재의 가장 상위계획인 제5차 국토종합계획
(국가가 집중하고 있는 사업을 찾아내라)
제대로 된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개발계획 중에서 될 만한 것을 골라낼 수 있어야 한다.
2. 2030 서울시 생활권계획
KEYWORD 1.순환도로망 및 순환철도망
2. 광역교통망
3. 캠퍼스 혁신파크 : 강원대(춘천), 한남대(대전), 한양대 에리카(안산)
4. 노후산업단지 : 서울디지털산업단지(G밸리)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G밸리와 안양천이 곧바로 연결, 안양천 일대의 개발바람이 불 수 있다.
남동공단 : 원인재역
반월시화공단 : 대곡-소사-원시선(21년 완성), 신안산선, 인천발KTX역(초지역),4호선 급행사업까지 완성되면 교통의 중심지로 변모할 것이다.
익산산단 : 대야-익산선, 장항선 서해안복선철도, 신안산선, 서해안이 완공되면 서해안벨트를 연결하는 철도망이 완성된다.
5. 복홥환승센터 : 지방거점개발을 위한 마지막 방점이다.
- 울산 KTX 역세권 사업
- 태화강역 복합환승센터(전 울산역) : 울산 트램 1호선과 BRT의 종점.
- 서대구역 복합환승센터
6. BRT : 12개 관문도시, 석수역, 온수역
7. 수도권 급행열차
경인선(용산-동인천) 9개 정차 40분 소요
경의선(서울-문산)
수인선(인천-오이도)
안산선(오이도-금정)
지상과 지하를 오가는 불편함을 감수하면서도 사람들이 전철을 선호하는 이유는 '정시성'과 '편리성'때문이다.
수도권 외곽지역일수록 BRT의 영향력이 클 것으로 예측된다. 제2외곽순환도로가 완전 개통되는 시점에 외곽순환도로에도 버스환승센터가 운영되면 BRT는 어떤 영향을 받을까? 개발호재나 지역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빈번하게 이용을 해야 함을 발휘하게 된다는 점을 잊지 말자. 이를 위해서는 새로 생길 교통호재가 혁신적인 편리함을 가져다 주어야 한다.
*예비타당성 면제 사업이 갖는 의미
지방 균형발전에 직접적으로 봐야 할 것은 B/C와 AHP
2030서울시 생활권계획 - 17년 5월 발표된 서울시 도시기본계획
"대한민국 부동산은 서울로 통한다"
키워드1.53지구중심
키워드2.경전철
키워드3.지구단위계획
키워드4.캠퍼스타운
국토부에 올라온 원문과 서울시 또는 각자치도나 시에서 올라오는 공문으로 생활권계획이나 정비사업등을 파악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정말 공부할 것들이 넘쳐나지만 교통망 공부만큼은 아빡님 책 2권을 정독하면 어느 정도 개요가 파악되는 것 같아서 추천드립니다. 일단 읽어보세요. 후회하지 않습니다.
'독서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부업 (0) | 2022.10.13 |
---|---|
구글 애드센스로 돈 벌기 (0) | 2022.10.12 |
[자녀교육]하루2장 수학의힘_루틴화 (0) | 2022.09.15 |
교통망도 모르면서 부동산 투자를 한다고?_부동산필수공부 (0) | 2022.09.15 |
부동산 투자로 진짜 인생이 시작됐다 (0) | 2022.09.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