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리뷰

부동산 투자로 진짜 인생이 시작됐다

by 빛나는초이 2022. 9. 8.
반응형

'평범한 전업맘에서 부동산의 여왕이 되기까지' 

부동산 투자로 진짜 인생이 시작됐다 _앨리스허(허미숙)

 

부동산 투자로 진짜 인생이 시작됐다

 

책을 읽게 된 이유

 

다른 부동산 투자서들에 비해 쉽게 내 눈길을 사로 잡은 것은 '평범한 전업맘' 이 단어가 들어가 있어서였습니다. 부동산에 대해 공부를 해보기로 마음을 먹고 강의를 듣고 책을 골라 읽는 와중에 너무 어려운 책들도 많았고 나와 맞지 않아서 현실적이지 못한 책들도 있었습니다. 이 책은 나도 해볼 수 있지 않을까 라는 마음이 들게 접근이 친숙했기에 편하게 읽어나갔습니다 .마음에 와닿았던 현실에 적용해야 할 내용들은 기록삼아 남겨봅니다.

 

책을 읽고 중요부분 필사

 

지금 살고 있는 작은 우물을 뛰어넘어 다른 세상에서 살아보고 싶지 않은가? 운 좋게 삶이 조금 상승세를 탔다 해도 운만 믿고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곧 바닥이 드러나고 만다 .좋은 기운이 찾아왔을 때, 내공을 쌓기 위해 전력질주한다면 그 운을 평생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다. 열쇠는 내가 쥐고 있었다. 절망과 희망의 차이는 백지장 한장이었다. 모든 것이 다 나의 선택이었음을 깨달았다. 잘 사는 것만큼 잘 팔아야 한다. 결국은 지역분선, 입지와 타이밍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오늘부터 시작해보자. 거창한 계획도 필요없다. 중요한 것은 꾸준함과 꾸준함을 유지할 수 있는 열정이다. 

월급만으론 부자가 될 수 없다. 기회는 반드시 또 온다. 다시 올 기회를 대비해 기초를 다지는 일에 집중하자.

 

무엇을 해야하는가

 

* 나의 재정상태부터 진단하기)

몇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가?

가용할 수 있는 투자금은 얼마인가?

왜 부동산 투자를 하려고 하는가?(내집마련/현금흐름/노후대책 등)

 

* 똘똘한 한 채로 시작하기)

실거주 집도 똘똘하지 않은데 투자금의 여유도 없는 경우는 대출을 받아 실거주 만족도를 높이면서 깔고 앉은 집으로 상승분을 먹거나, 실거주는 포기하고 여유 자금을 만들어 투자를 하거나 양자 중 선택을 해야 한다.

 

집을 매수할 때 반드시 따져봐야 하는 것이 '이 집을 언제 팔 것인가'이다. 

-> 매도 시점의 시장 상황을 공급 물량으로 어느 정도 예측한 후에 매수 타이밍을 잡아야 한다. 

일주일에 한 시간씩 공급 물량을 보는 습관을 들인다면 돈의 흐름이 보일 것이다. 

 

*공급 물량 데이터 만드는 방법)

1. 과거게 분양해서 현재 입주가 이루어진 아파트 : 전월세지원센터(http://jeonse.ih.or.kr/)

2. 과거에 분양해서 아직 공사 중인 아파트: 분양정보사이트

3. 현재 분양해서 앞으로 입주 예정인 아파트 : 닥터아파트 사이트 

- 재건축 및 재개발을 통한 분양 물량은 실제로 입주가 되는 전체 세대수 찾아 입력

- 당장 공급이 부족한 지역의 경우, 전세 시장부터 매물 부족이 시작.

공급이 부족하고 가격이 반등하기 직전에 해당 지역의 부동산을 매수했다면 골든 타이밍을 잡은 것이다. 

 

1~2년 뒤의 시장을 예측하고 대비하기)

1단계 - 매주 전국을 도 단위로 나눠 공급 과부족 수치 파악하기

2단계 - 현재 공급이 많으나 향후 부족해질 지역 주시하기

 

입지를 결정짓는 다양한 조건들

1. 단일 평수보다 다양한 평수의 단지

2. 아파트 브랜드

3. 경사진 단지보다 평지 단지

4. 특수 조망권 프리미엄

5. 남향

 

한 지역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도별 중심지가 되는 지역부터 파악해야 한다. 

중심지가 되는 지역은 대부분 그 지역의 부촌, 즉 1등 입지를 가진 곳이기 때문이다. 

- 현장에 답이 있다.

- 지도 만들기는 임장 준비의 시작점이다.

 

*첫 임장시 기록할 것

1. 지역의 전반적 분위기와 주변환경

2. 개별 아파트의 환경 및 입지

3. 부동산 중개소에서 얻은 정보

4. 나만의 평가 포인트

 

 

좋은 에너지를 가진 이들을 만나라.

지금 당장 행동으로 옮겨라.

열심히 모으고 의미 있게 쓰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