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은 어느 날 갑자기 잘할 수 없습니다
초등생의 수학 학부모의 계획
김수희 저(초등생 엄마이자 현직 중등 수학 선생님) / 사람 in

대한민국에서 '학부모'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나는 종종 교육서를 보곤 한답니다.
도서관에 가면 문학책을 집어 들던 내가 각종 육아서와 부모 교육서를 거쳐 이제는 자녀 교육서를 집어 듭니다.
읽다 보면 맞는 말이지만 식상하거나 현실감이 없거나 한 번 정도 읽어보았으면 되겠다 싶은 책들은 도서관을 주로 이용해서 읽습니다. 읽고 나서도 두고두고 도움이 되겠다거나 로드맵이 확실한 책들은 소장을 하는 편입니다.
'초등생의 수학 학부모의 계획' 이 책도 도서관 신간 코너를 기웃거리다가 집어 들고 왔지만 구매해서 두고 봐야 하겠다는 책이 되었습니다.
시대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수학 공부의 본질은
'스스로 수학을 만지고,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우리 아이를 잘 관찰하시고,
스스로 수학 공부를 할 수 있는 힘을 키워 주세요.
- 저자의 말
PART 1 왜 아이들은 수포자가 되는가?
1장 중등 수학 교실의 현실
2장 수학을 망치는, 초등생 90%의 수학 공부 실태
교과서 복습을 해 본 적이 없는 아이들 - 수포자들의 공통점은 놀랍게도 '교과서 복습'을 단 한 번도 해 본 적이 없는 아이들이었습니다.
교과서로 복습하는 것이 가장 똑똑한 공부법입니다.
수박 겉핥기 식으로 진도만 나가는 아이들 - 현재 학년의 단원평가 문제를 완벽하게 소화하지 못한다면 그것이 바로 수박 겉핥기!
실생활에서 수학을 접해 본 적이 없는 아이들
수학 문제를 질리도록 풀고 암기하는 아이들
학원 tip) 학원 상담 시원 장님의 교육관은 무엇인지 파악해야 합니다.
교육자는 자신의 교육관이 뚜렷합니다.
학원을 4학년이면 보내야 한다던지 적어도 5학년이면 학원에 가야 한다는 것은 세상의 소리입니다.
선행으로 개념을 배우기 위해 학원을 다닐 때, 수학교육을 전공하셨는지 꼭 확인!!
현행 심화 문제 풀이 학원을 다닐 때, 문제를 처음부터 끝까지 풀어주는 학원은 지양해야 합니다.
PART 2 초등 수학의 출발선과 종착점 로드맵
-수학 성적이 우수한 아이의 부모는 무엇이 다른가?
1장 초등 수학 교육과정 - 중학 수학과 연계해 꼭 공부해야 할 단원.
초등수학에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MUST 3! 1) 분수의 개념과 연산 - 6학년 겨울방학 때 초등 교과서 분수 관련 내용은 반드시 복습하기! 2) 비와 비율, 비례식 - 비례관계에 대한 개념 알기. 교과서, 기본문제집, 심화, 비율의 개념에 관한 수학도서 읽기. 3) 삼각형, 사각형의 정의와 성질 - 마인드맵 작성, 도형 영역 노트 정리 |
2장 초-중-고 수학 공부 로드맵 - 고2 겨울방학 때 수능 기출문제를 풀 수 있어야 한다.
빨리 도착하는 것보다 천천히 제대로 제시간에 가는 방법을 선택.
(p.122 참조 초등 1학년 - 고등 3학년까지의 로드맵)
수능 1등급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예습, 수업, 복습이라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고1 여름방학 때까지는 자신의 진로에 대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Q. 선행 시기, 방법, 현행 심화의 깊이를 알고 싶어요.
현재는 교육과정 개정 덕분에 우리 아이들이 초등에서는 한 학기 예습만으로도 충분히 고등 수학 교육과정을 공부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생겼습니다. 초등 수학 예습의 적정량을 수업 시간에 선생님의 말씀을 이해할 수 있고, 교과서의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한 학기 내용을 공부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PART 3 수능 1등급으로 이어지는 초등 수학 선행의 핵심 3
- 초등 때 꼭 해야 하는 수학 선행 3가지 : 반드시 그날 학교에서 배운 교과서의 내용을 다음 수업 시간 전까지 아이가 스스로 정리하고 능숙하게 설명하며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합니다. 지능이 높은 아이든, 수학을 싫어하는 아이든 관계없이 완전 학습은 수능 1등급으로 가는 가장 필요한 첫걸음입니다. 초등 때는 열 권의 문제집을 푸는 것보다 열 문제 속에서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1장 초등 수학의 선행 핵심 1 완전 학습
1) 예습 - 초3, 4,5,6
: 사칙연산은 2학년 여름방학부터는 매일 연산 문제집을 풀면서 한 학기 정도 빠른 진도를 능숙하게 연습하는 과정이 필요.
중1 예습법
: 중학 수학에 자신감을 키워 주기 위해서 6학년 12월, 1월, 2월 동안 아이 스스로 계획을 짜서 중1 교육과정 전체 예습을
완수하는 경험이 필요합니다.
2) 수업(눈 맞춤, 대답, 필기) - 눈 맞춤 : 반드시 매 수업마다 선생님이나 발표자에게 눈을 맞추라고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하교 후에는 반드시 아이들이 쉴 수 있는 여유를 주세요.
3) 복습 - 초1, 2 복습법 : 초, 2 복습의 목표는 그날 배운 내용을 그날 공부할 수 있는 습관을 형성시켜 주기 위함입니다.
굳이 응용문제집이나 심화 문제집까지 풀리지 않아도 됨.
초3, 4,5,6 복습법 : 응용문제집에서 틀린 문제는 꼼꼼하게 오답노트를 작성하면서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2장 초등 수학의 선행 핵심 2 실생활 수학 - 좋은 사례들이 책에 수록되어 있음.
3장 초등 수학의 선행 핵심 3 성취감 수학
1) 초1, 2 과제집착력 뿌리 심기
: 초1, 2 아이들에게는 수학 문제집 대신에 아이들이 좋아하는 일에 몰입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초3, 4,5,6, 과제집착력 줄기 세우기
: 부담되지 않는 오늘의 수학 공부 계획을 명확하게 페이지까지 적어서 아이가 실천할 수 있도록 제시해주시면 됩니다. 적은 문제와 넉넉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2) 초3, 4,5,6 응용문제집 오답노트
: 수학 공부를 할 때 자신이 틀린 문제를 다시 생각해 보고 이유를 스스로 인지하는 시간은 수학적 사고력을 발전시키는 중요한 과정이기 때문이다. 오답노트를 통해 자신에게 부족한 수학적 아이디어만을 모을 수 있다. 오답노트 정리는 아이들이 수학 문제를 푸는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3) 초5, 6 심화 문제집 문제 풀이 노트
: 방학 중에 심화 문제집을 풀 때는 문제 풀이 노트를 마련해서 처음부터 노트에 정리하며 푸는 습관을 기르는 방향으로 아이를 이끌어 주시기 바랍니다.
요즘 코로나 시국이라 2020년부터 교육보다는 건강이, 학교 가는 날보다 안 가는 날이 더 많으니 아이들 교육이 참 걱정거리가 아닐 수 없습니다. 부모가 자녀교육에 대해 관심과 준비가 없으면 죄책감을 갖게 되는 시대를 살고 있는 나도 아이들 교육에선 마냥 자유롭지만은 못하고 있는데요. 아이들이 커서 성인이 되었을 때 결국은 아이들이 행복하게 사는 것이 진정 원하는 양육과 교육의 방침인지라 예체능이 아닌 학습을 위한 학원은 별로 보내지 않았었습니다. 아직 어리기도 했었고 딱히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아서였지요. 남들 보낸다고 나도 보낸다는 것은 나의 교육관과 안 맞기도 했고 공부 주체가 되는 아이들이 원하지 않기도 해서 우리 집은집에서 수학 '매일 2장'을 하고 있습니다. 학교 입학하고 초등 1학년 때부터 현재 초등 6학년인 지금까지도 계속이요.
자주 들어가서 정보를 얻는 유명한 교육 카페에서 좋은 글들을 왕왕 만나고는 하는데 수학 학습에 대해 꼼꼼하게 올려주신 글이 있었고 내용이 너무 훌륭해서 기억하고 있었는데 그분이 이 책을 집필하기까지 하셨네요.
지금은 삭제된 글이라... 하지만 MUST 3으로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그때도 댓글에 집필 응원드린다고 했는데 출간도 응원드립니다.^^)
'독서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투자로 진짜 인생이 시작됐다 (0) | 2022.09.08 |
---|---|
[자녀교육] EBS 당신의 문해력_공부의 기초체력을 키워주는 힘 (0) | 2022.09.07 |
돈을 부르는 말버릇_인생도 수입도 극적으로 바뀌는 말하기 습관 (0) | 2022.09.06 |
럭키_내 안에 잠든 운을 깨우는 7가지 방법 by 김도윤 (0) | 2022.09.06 |
미라클모닝_당신의 하루를 바꾸는 기적 by 할엘로드 (0) | 2022.09.05 |
댓글